팔지도, 사지도 못해…개미 "株울증 걸릴 지경"
최근 투자정보 카페나 종목 게시판에 자주 올라오는 글이다. 코로나19 이후 급등장에서 주식 투자를 처음 시작한 개인 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졌다.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급락장에서 길을 잃은 모습이다. 매수 버튼도, 매도 버튼도 쉽사리 누를 수 없는 장이 지속되면서 하루 평균 거래량은 지난해 초 대비 5분의 1 토막 났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월 국내 증시(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시장 합계)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20조369억원으로 지난달 대비 5.2%, 1년 5분 거래 전 대비 52% 줄었다.
지난 26일엔 유가증권시장 거래대금이 8조9798억원에 불과했다. 지난해 1월 하루 평균 거래대금이 42조원에 달했던 것과 비교하면 거래대금이 5분의 1로 감소한 셈이다.
개인 투자자들이 “살 수도, 팔 수도 없게 됐다”고 토로하고 있는 건 개인이 지난해부터 집중적으로 매수한 성장주가 크게 하락하면서 투자 금액이 물려 있기 때문이다. 개미는 이달 들어
등 지난해 크게 오른 종목 중 하락률이 30~50%에 달하는 종목을 집중적으로 사들였다. 개인이 1월 한 달간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카카오다. 개인의 평균 매수가는 9만6956원. 이날 종가는 8만2600원으로 평균 매수가 대비 14.81% 빠졌다.
는 각각 24.56%, 18.44% 떨어졌다. 하락장에 대한 경험이 부족한 개인 투자자들이 섣부르게 주가가 떨어진 종목 위주로 사들인 결과다. 저점에 다다랐다고 보고 매수에 들어갔지만 오히려 하락세는 더 급격해졌다.
“지금 팔기엔 실익이 없다”고 조언하는 전문가들의 전망도 개인의 포트폴리오 재편을 망설이게 하고 있다. 코스피지수가 과거 10년 평균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10.09배)인 2806.6포인트를 밑돌고 있기 때문이다.
한 달 새 주식시장 분위기가 급변하면서 우울감을 호소하는 개인 투자자도 크게 늘었다. 종목토론방이나 주식정보 카페에는 “미국장 쳐다보다 늦잠 자서 출근에 늦었다”는 글이나 “주가창으로 시작하는 매일 아침이 우울하다”, “모바일 트레이딩시스템(MTS)에서 눈을 떼지 못해 일처리가 늦어져 상사에게 한 소리 들었다” 같은 글이 넘쳐나고 있다.
전문가들은 “작년보다 주가가 싸졌다고 무조건 매수하는 전략은 피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유동성 잔치가 끝나면 성장성만으로 높은 프리미엄을 받은 성장주의 할인은 불가피하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긴축 기조에다 단발성 악재까지 겹치면서 할인율이 50%를 넘겨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최준철 VIP자산운용 대표는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는데도 지난해 크게 올랐던 일부 종목은 반 토막이 아니라 10분의 1 토막이 날 것”이라며 “주가의 절대 레벨만 보고 매수하지 말고 실적이 뒷받침되는 종목을 잘 선별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심성미/박재원 기자 [email protected]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5분 거래 좋아할 만한 뉴스
연기금, 새내기주 '기계적 매수' 괜찮나
연기금이 LG에너지솔루션 상장 후 3거래일 연속 순매수에 나섰다. 지난해 카카오페이, 크래프톤부터 올해 LG에너지솔루션까지 연기금이 대형 기업공개(IPO) 종목에서 손실을 보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상장 초기 수급에 따른 주가 변동성이 큰 새내기주를 기계적으로 사들이는 것이 적절하냐는 지적이 나온다.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기금은 LG에너지솔루션이 상장한 지난달 27일 이후 3거래일 동안 2조3245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상장 당일 순매수 규모만 2조1085억원에 달한다.연기금이 새내기주를 상장 초기에 대량 사들이는 것은 매년 반복되는 흐름이다. 연기금은 카카오뱅크와 크래프톤을 상장일에만 각각 1438억원, 1162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연기금으로선 대형 IPO 종목이 상장하면 포트폴리오 내 비중이 충족될 때까지 기계적으로 매수할 수밖에 없다. 벤치마크를 추종하는 패시브 투자는 단순 수익률보다 ‘벤치마크를 얼마나 잘 복제했는가’가 관건이기 때문이다.일각에서는 연기금의 이 같은 투자 방식이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한다. 대형 IPO 종목의 주가가 상장 직후 고점을 형성하고 이후 하락세를 보이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기금의 LG에너지솔루션 평균 순매수 단가는 52만380원으로 추정된다. 현 주가(47만7000원)와 비교하면 8.34% 평가손실이 난 셈이다.연기금은 크래프톤, 카카오페이 등 지난해 상장한 종목에서도 큰 손실을 보고 있다. 크래프톤의 현 주가(27만5500원)는 연기금의 평균 매수 단가인 50만6920원 대비 45.73% 낮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연기금의 패시브 투자가 새내기주의 상장 초 오버슈팅(일시적 폭등)을 부추기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비판했다.증권업계에서는 연기금의 패시브 투자에 대해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신규 상장 종목의 편입 기간을 늦추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를 위해 벤치마크지수를 코스피지수 외에 다른 지수로 대체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실제 한국거래소는 2015년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의 패시브 투자를 위한 ‘코스피 벤치마크지수(i-KOSPI)’를 만들었다. 해당 지수는 신규 상장 종목에 대해 상장 10거래일 후 편입하도록 했다. 하지만 해당 지수는 실제 사용이 거의 없어 2019년 산출이 중단됐다.벤치마크지수로 코스피지수 대신 코스피200지수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코스피200지수는 상장 후 지수 편입까지 수개월이 걸리기 때문에 수급에 따른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작다.서형교 기자 [email protected]
인도에 힘주는 크래프톤, 게임사에 추가 투자
크래프톤이 인도 시장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e스포츠 기업, 웹소설 플랫폼 등에 투자한 것에 이어 게임 개발사 투자에도 나섰다.크래프톤은 인도 스포츠게임 전문 개발사 노틸러스모바일에 약 65억원을 투자했다고 3일 발표했다. 노틸러스모바일은 크리켓 게임을 개발 및 퍼블리싱하는 인도 스포츠 게임 전문 개발사다.대표 게임 ‘리얼 크리켓’은 1억 건 이상 다운로드, 1000만 명 이상 월간 사용자(MAU) 등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020년에는 인도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기술 회사 제트신서시스가 노틸러스모바일을 100% 인수하면서 크리켓 e스포츠 사업 진출 계획도 발표했다. 손현일 크래프톤 인도법인 대표는 “인도 이용자를 위해 차별화된 스포츠 게임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크래프톤은 인도 시장에서 투자를 활발히 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e스포츠 기업 노드윈 게이밍,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로코, 웹소설 플랫폼 프라틸리피, 인도 얼리 스테이지 펀드 스리원포, 소셜 플랫폼 FRND 등 게임과 연관된 인도 5분 거래 정보기술(IT) 기업에 약 949억원을 투자했다.구민기 기자 [email protected]
카카오, 먹통 또 먹통…QR체크인·지도·뉴스 동시다발 오류
카카오의 지도, QR 체크인, 뉴스 서비스 등이 3일 낮 오류로 정상 작동하지 않다가 오후 1시께 정상화됐다.3일 정오께 방역 패스 용도로 쓰이는 카카오의 QR체크인 등 일부 서비스에서 오류가 속출했다. 설연휴 이후 첫 출근일인 이날 점심시간을 전후해 발생한 오류로 이용자들이 큰 불편함을 호소했다.카카오가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인 '카카오맵'도 원활하게 접속되지 않았다. 카카오맵으로 길찾기를 시도하면 "네트워크 연결 상대를 확인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라는 메시지가 나타났다.특히 카카오 맵은 카카오모빌리티 택시 호출 서비스 '카카오 T'의 기본 길 안내 도구로 쓰여 왔기 때문에 많은 이용자와 택시기사들이 불편을 겪었다. 카카오 맵은 한 달여 전인 지난해 12월 17일에도 한파 속에 2시간 가량 오류가 발생한 바 있다.카카오가 운영하는 포털 사이트 '다음'에서도 뉴스 콘텐츠에 접근할 수 없는 장애가 발생했다. 다음 PC 버전에서 뉴스 콘텐츠에 접속하면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이라는 문구가 나타났다. 다음 모바일의 경우, 첫 페이지는 뜨지만 하위 섹션별 기사에 접근이 차단됐다.카카오 관계자는 "QR체크인, 포털 다음 등 대부분의 서비스가 복구됐다"며 "정확한 오류 발생 원인을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email protected]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