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린저밴드의 기초
필자는 이미 이 게시판을 통해 많은 지표들을 소개했었으므로 더 이상 지표에 대한 강의는 하지 않으려 했으나, 하나라도 더 알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해서 또 강의를 남기니 많이 공부하시길 바란다.
사실 지표라는 것은 많이 안다고해서 무조건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자신이 좋아하고 자신에게 어울리는 지표를 단순화시켜서 사용하는 것이 훨씬 좋은 성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때문에 이 지표 역시 습득 후 많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자신의 것으로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역시 많은 경험이 필요한 것이다.
특히 볼린저밴드에 대해서 처음부터 강의를 하지 않았던 부분도 이 지표가 가지는 특성상 사용자로 하여금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한다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의외로 기술적분석을 하시는 많은 분들이 이 시장에서 "다이버전스"를 맹신한 거래를 하는 것을 보고 이 볼린저밴드 강의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때문에 이 강의의 활용편에서는 볼린저밴드와 다이버전스의 관계에 대해서도 기술해 볼 생각이다.
아마 필자의 머리속에 정리되지 않은 내용들이 상당 부분 있는데, 강의를 하면서 정리할 예정이다. 다만 예상컨데, 한번의 강의를 통해서 마치지는 못할것이라 생각되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 먼저 이해를 구한다.
볼린저밴드를 설명하기전에 이것이 무엇을 나타내는 지표인지를 이해하고 넘어가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지표의 이름에 나타나듯이 이 지표는 John Bollinger에 의해 개발된 지표로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상하 그 표준편차 거리에 밴드가 구성된다는 것이 가장 기본이다.
결국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상하에 가격의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나온값을 이동평균선에 더해줘서 상단채널을 만들고 이동평균선에서 빼줘서 하단채널을 만들어서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 지표를 이용한 활용방법은 가격이 밴드의 상단채널과 하단채널을 경계로 상승과 하락을 거듭한다는 것을 전제로 출발하는 것이다.
역시 글로 설명하는 것은 쓰는 사람도 읽는 여러분도 어렵다. 쉽게 그림으로 보여드리겠다.
자 이것이 볼린저밴드 지표의 그림이다.
앞서 설명했듯 중심선과 상하에 밴드가 하나씩 구성되어 총 3개의 선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실 수 있다.
이때 가운데 진하게 파란색으로 된 부분이 중심선(이동평균선)이고, 위에 붉은색으로 된 부분이 상단채널, 그리고 아래에 파란색으로 된 부분이 하단채널이다.
필자는 이 강의를 준비하면서 영어사전에서 볼린저밴드의 어휘를 한번 찾아보았다. 대부분 아시겠지만, Bollinger Bands(볼린저밴드)를 사전에서 찾아보니, Bollinger는 사람 이름이므로 의미가 없고, Bands는 "띠" 혹은 "끈"이라고 해석이 되어 있다.
역시 해석하면 볼린저라는 사람이 만든 "볼린저의 띠" 혹은 "볼린저의 끈"으로 해석하면 되겠다.
여러 기술적분석 책에서 보면 이러한 모양을 자루 모양에 가깝다고 표현을 한것도 있고, 여러 모양에 빗대어 설명하고 있지만, 필자가 볼때는 사람의 내장 기관인 창자 모양에 가장 가깝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
다음으로 다시 위 차트를 한번 보도록 하자.
그림에서 보이듯 3개의 선으로 이루어진 볼린저밴드는 폭이 좁아졌다, 넓어졌다를 반복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단은 여기까지만 이해하고 넘어가자.
자 그럼 볼린저밴드를 구하는 식을 알아보자.
상단채널 : 중심선 + 2σ
중심선 : N일의 이동평균선
하단채널 : 중심선 - 2σ
(이때 σ은 표준편차)
앞서 계속 이야기하지만, 이러한 부분은 외울 필요는 절대 없다. 다만 이해는 하고 넘어가셔야 지표를 활용하고 응용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이해는 하고 넘어가도록 하자.
중심선 : N일의 이동평균선 - 이렇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볼린저밴드의 중심선의 N일은 20일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동평균선의 20일선과 동일한 것이다. 개인의 성향에 따라서 다른 수치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필자의 경험상 20일을 사용하면 무난한 것 같다.
상단채널과 하단채널 : 중심선에서 "+" "-" 2σ의 값을 통해 상단채널과 하단채널이 구해지는데, 이때 구체적인 산식과 σ를 구하는 식은 위에 기술해 놓으려다가 계산이 어려울뿐더러 전혀 알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기에 생략했다. 다만 이때 2σ(표준편차 2)가 나타내는 수치의 의미를 꼭 알고 넘어가야 한다.
2σ(표준편차 2) 의미
표준편차 2의 의미를 설명하기전에 볼린저밴드가 왜 유용한 지표인지를 설명하겠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 지표는 기술적분석의 토대인 확률에 가장 가깝게 응용되었다는 것이다.
무슨말인가하면, 표준편차 2를 사용해서 이 지표를 사용할 경우, 가격은 이 볼린저밴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해서 위로는 상단채널 아래로는 하단채널의 거의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때 확률적으로 가격이 이 볼린저밴드 내에 존재할 확률이 95.44% 반대로 가격이 이 볼린저밴드를 벗어날 확률이 4.56%라는 것이다.
이는 바꿔말하면, 왠만하면 가격은 밴드내에서 존재한다는 것이다.
뒤에 설명하겠지만, 이를 활용한다면, 밴드의 상단채널에서는 매도진입을 또 밴드의 하단채널에서는 매수진입을 한다면 확률적으로 상당히 높은 성공률을 기록할 수 있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 그림이 볼린저밴드 2σ(표준편차 2)를 사용한 그림이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가격이 밴드내에서 형성될 확률이 95% 이상이라고 했었다.
역시 눈으로 대충 확인해도 가격은 거의 밴드내에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그림으로 하나 더 보도록 하자.
이 그림이 위에 있는 그림과 똑같은 그림이다.
단지 볼린저밴드 1σ(표준편차 1)를 사용한 그림이다.
어떤가? 표준편차 2를 사용했을 때보다 가격은 밴드를 벗어난 경우가 현저히 많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확률적으로 계산을 해보면, 표준편차 1을 사용할 경우, 가격이 밴드내에 존재할 확률은 68.27% 반대로 가격이 밴드를 벗어날 확률이 31.73%라는 값을 구할 수 있다.
이제 대강 표준편차 2 즉 2σ의 의미에 대해서 이해를 하셨을 것이라 생각한다.
만약 표준편차의 값을 더 크게 사용한다면, 가격은 밴드내에 존재할 확률이 더욱 높아지는 것이다. 다만 표준편차를 크게 사용할 시 실효성이 떨어지기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더 높은 수치를 대입시켜보셔도 좋다.
오늘 강의의 제목은 "볼린저밴드의 기초"라고 하고 여기에서 마치도록 하겠다.
다음 강의에서 "볼린저밴드의 활용" 혹은 "응용"이라는 제목으로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기술할 예정이다.
무엇이든 기초가 튼튼해야 실제 활용이 가능하므로 이 부분에 대한 이해를 확실히 하셨으면 한다.
코멘트 (0)
종목명 | 가격 | 변동률 |
---|---|---|
EURUSD | - | - |
GBPUSD | - | - |
USDJPY | - | - |
AUDUSD | - | - |
NZDUSD | - | - |
USDCHF | - | - |
USDCAD | - | - |
이미 만료된 다운로드 링크 입니다. 다시 시도 해 주세요. 이렇게 뜨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pipkeeper 사용하고 싶은데 왜 됫다 안됫다 할까요?
pipkeeper 는 해외선물에도 메치가 가능한가요?
아..TraderHaru님이 블루아이님 인가요~?
오래전에 짜 주신 개인적인 EA와 관련해서 연락 드릴수 있을까 해서요
안녕하세요~ 블루아이님과 연락 할수 있을까요?
네ㅎㅎ 저는 화성시로 이사와서 애기키우며 그럭저럭 살고있어요 ㅎㅎ
다들 즐거운 월요일 보내세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모두 성투 합시당
캐나다 전월대비 핵심 소매판매 발표.발표치: 0.2% / 예상치: 0.5% / 이전치: -0.5%
캐나다 전월대비 핵심 소매판매 (발표일: 2019년 8월 23일 | 발표: 0.9% | 이전: -0.3% | 예상: -0.1%)
캐나다자국내 자동차 부문을 제외한 소매 판매액의 총 변화율을 나타낸 지표이다.일반적으로 발.
영국 서비스업 구매관리자 지수 볼린저밴드 지표 잠정치 발표.발표치: 52.9 / 예상치: 51.1 / 이전치: 50.0
영국 (발표일: 1970년 1월 1일 | 발표: | 이전: | 예상: )
의 상세설명은 아직 준비중입니다.
영국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잠정치 발표.발표치: 49.8 / 예상치: 48.8 / 이전치: 47.5
영국 (발표일: 1970년 1월 1일 | 발표: | 이전: | 예상: )
의 상세설명은 아직 준비중입니다.
은행 | 금리 |
---|---|
연방준비은행(FED) | 2.50% |
유럽중앙은행(ECB) | 2.50% |
일본은행(BOJ) | 2.50% |
영국은행(BOE) | 2.50% |
스위스국립은행(SNB) | 2.50% |
호주준비은행(RBA) | 2.50% |
캐나다은행(BOC) | 2.50% |
뉴질랜드은행(RBNZ) | 2.50% |
Risk Disclosure: ForexLiga will not accept any liability for loss or damage as a result of reliance on the information contained within this website including data, quotes, charts and buy/sell signals. Please be fully informed regarding the risks and costs associated with trading the financial markets, it is one of the riskiest investment forms possible. Currency trading on margin involves high risk, and is not suitable for all investors. Before deciding to trade foreign exchange or any other financial instrument you should carefully consider your investment objectives, level of experience, and risk appetite. ForexLiga would like to remind you that the data contained in this website is not necessarily real-time nor accurate. All CFDs (stocks, indexes, futures) and Forex prices are not provided by exchanges but rather 볼린저밴드 지표 by market makers, and so prices may not be accurate and may differ from the actual market price, meaning prices are indicative and not appropriate for trading purposes. Therefore ForexLiga doesn’t bear any responsibility for any trading losses you might incur as a result of using this data.
볼린저밴드 지표
(Bollinger Band)
2. 다른지표와의 차이점
3. 볼린저 밴드의 구성
4. 볼린저 밴드의 상중하 라인 공식
5. 볼린저 밴드의 사용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용어 중에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볼린저밴드의 볼린저는 사람 이름입니다. 1980년대초 기술적인 거래도구로, 주식의 변동성이 유동적이고 일정하지 않는 시장상황에서 적절한 매매범위를 찾기위해 볼린저 라는 사람이 고안한 방법입니다. 지금은 아주 대표적인 주식 도구이지요.
볼린저밴드의 기본적 원리는 이렇습니다. 표준정규분포 함수에 주가의 변동이 따라간다고 했을 경우, 가정입니다. 주가를 따라 위 아래로 폭이 똑같이 움직이는 밴드를 만들어 그 밴드라는 일정한 틀을 만듭니다.
아주 유사한 지표로 이동평균 채널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분명 다른 점은 있습니다. 가격변동성(프라이스 볼라틸리티)와 추세분석을 동시에 이행하며, 투자자에게 적절한 매매시기를 알려주기 위해 밴드라는 변동띠를 계속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이동평균 보다 한단계 더 나아간 지표라는 것입니다. 볼 수 있습니다 .
또 하나, 비슷한 것으로 인벨럽 밴드(Envelop) 밴드가 있지 않냐고 하는 분도 있습니다. 볼린저 밴드는 상한, 하한의 폭을 표준편차로 결정합니다. 하지만 인벨럽 밴드의 경우에는 종가 이동 평균값의 일정한 가격만큼을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단순히 플러스 마이너스 3, 플러스 마이너스 5, 플러스 마이너스 10 퍼센트 설정하는 것처럼요.
더욱이 볼린저와 인벨럽 지표 모두 상하한선의 주가 모멘텀에 따라 매매하는 법칙은 비슷하지만, 인벨럽 밴드는 주가 변화에 따라 상하한선이 일정하게만 변합니다. 하지만 볼린저 밴드는 여기에 더해 가격 변동크기에 따라 상하한선이 유동적으로 변한다는 것이지요. 볼린저가 그래서 더 낫다는 얘기를 할 수 있는 면입니다.
다시 말해, 인벨럽 밴드는 추세에 대한 정보만 제공하지만, 볼린저 밴드는 추세 플러스 변동성이 가미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 점이 볼린저 밴드가 만들고 해석하는 출발점입니다.
볼린저 밴드는 주가가 상한선과 하한선을 경계로 하여 등락을 거듭한다는 사실을 가정하고, 주가의 움직임을 잡으려 합니다. 미리 설계된 중간의 이동평균선과 상단 그리고 하단의 밴드의 3개의 밴드로 구성합니다.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잡고 상한과 하한의 변동폭은 추세중심선의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주가는 9할이상 볼린저 밴드 내에서 등락을 반복하는데요. 가격변동 띠의 폭이 이전보다 확 커지거나, 커졌던 밴드의 폭이 확 줄어들 경우에는 볼린저밴드를 과매수 또는 과매도 구간으로 판단하기도 합니다.
주간은 일정 기간동안 과열되기도 하기 때문이 이것을 가지고 상대적인 높은 가격 또는 낮은 가격의 여부를 알면서 다른지표와 연동해 사용하기 좋습니다. 거래 타이밍문제 해결시 매도, 매수의 때를 가늠할 적기를 선별하는에 상당한 도움을 줍니다. 더불어 주가의 상대적인 가격 수준과 변동성의 확인 외에도 가격의 움직임 또는 기타 지표들과 연동하여 시그널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아주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 실제도 투자자들 사이에서 사용하는 대표 중의 대표 지표입니다.
[볼린저 밴드의 상중하 라인 공식]
- 상단 라인 : 20 일 동안의 주가 평균값 + 20 일 동안의 주가 표준편차 값의 2 배
- 중간 라인 : 20 일 동안의 주가 평균값
- 하단 라인 : 20 일 동안의 주가 평균값 - 20 일 동안의 주가 표준편차 값의 2 배
표준편차를 볼린저 밴드에서 사용하는 이유가 뭘까요 ? 표준편차를 구하다보면 알 수 있습니다 . 공식을 좀 더 살펴보면 이렇습니다 . 일단 표준편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편차의 음수를 제거해야 하는데요 . 제곱을 하고 다시 제곱근을 적용하여 돌려놓아야 합니다 .
그러한 이유로 원래의 편차 값보다는 큰값이 적용될 수 밖에 없고 , 그 작은 변화가 점점 더 확대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 결과적으로 기존 추세와 전혀 다른 가격 변동이 발생했을 경우 , 밴드는 급격하게 변하며 볼린저 밴드상에는 더욱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투자자는 신호를 잡아내기 쉽게 됩니다 .
한가지 더! 표준편차는 일단 2차 함수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연속적인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편리하면, 일정 기간의 가격에 대한 변화 측정치이므로 가격변동이 심한 경우네는 변동폭은 오히려 줄어드는 조정효과를 만들어 냅니다. 투자자한테는 이런 조정이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를 만들어내는 것이죠.
볼린저 밴드는 기술적 분석 투자자에게 아주 사랑받는 지표입니다. 가장 기본적이고, 대표적 지표로써 그만큼 다수의 투자자가 이용하는 지표입니다. 또한 이 지표를 사용하는 대표 기법 이 있습니다.
1. 밴드 자체의 폭이 좁아지거나, 확장하는 변동을 갖고 하나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개발자 존 볼린저는 밴드 자체의 폭이 축소되고, 밀집구간을 거치고 난 후에는 상단 밴드를 돌파할 때 주식을 매입하고, 하단 밴드에서 하방을 벗어날 때 주식을 공매도 하라고 일러줍니다. 볼린저 밴드에서 밴드의 폭이 좁아진다는 것은 주가의 가격 변동이 적인 안정기에 들어갔다고 해석하는 것이죠. 그 이후에는 추세를 결정할 텐데요, 이 대 상단 밴드를 건드리면 상단 돌파를, 하단 밴드를 건드리면 하향 추세로 간다는 것입니다.
2. 상단과 하단 지료를 활용해봅니다. 주가가 이동 평균선을 기준삼아 상단 밴드, 즉 상단의 저항선에 접근할 때 각종 지표들이 주가의 볼린저밴드 지표 강세를 말하기에 매수로 진입하고, 주가가 하단 밴드를 접근할 때는 주가의 하향을 점쳐보는 것입니다. 이 때 저항선과 지지선을 기준으로 매수 또는 매도을 결정해야 합니다. 상단이든 하단의 밴드를 돌파할 경우 그 추세를 이어간다고 해석해야 합니다.
3. 복수의 밴드 접촉과 지표를 이용합니다. 주가가 상단 밴드를 돌파 못하고 여러번 건드리며 점점 약세를 보여줄 경우, 또는 주가가 하단 밴드을 여러번 건드리면서 점점 상승기운을 얻을 때 반전을 예측하는 것입니다. 밴드의 가격대를 벗어난 이후 주가가 원래 가격대로 돌아올 경우 추세의 반전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를 설정하기 위해서 3가지 자료가 필요한데요, 주가, 거래량, 변동성입니다. 주가와 거래량을 통해 기술적 분석을 하면 변동성에는 기업의 현재적 가치와 심리가 투영됩니다. 따라서 이들을 합성한 볼린저 밴드가 기술적 분석에 더불어 기업 경영지표 분석의 종합적인 분석 수단으로 활용되며, 합리적 투자결정의 뿌리가 된다는 것이 기술적 분석 투자자들의 하나같은 목소리 입니다. 반면에 정규투자이론을 좋아하는 분이라면 이러한 볼린저 밴드 분석에 회의감을 갖는 것도 적지 않습니다.
정규 투자이론을 추종하는 투자자들은 차트의 움직임에만 의존하여 기업의 주식가치를 따지는 것이 무리라고 하는데요. 그런 의견이라면 거의 모든 기술적 분석이 무리라는 얘기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한 운영사에서는 볼린저밴드는 겉으로는 전문적인 투자용어로 보이지만 사실은 증권방송에서 방송자들이 시청자들은 바람몰이하기 위한 방법에 그칠 뿐이라고 얘기합니다. 더불어 상당수의 개인 투자자는 이런 식의 차트 분석을 볼린저밴드 지표 통해 투자에 나서기 보다는, 기업의 가치분석을 통해 장기투자가 훨씬 더 옳은 방법이라고 얘기합니다.
다시 말하면, 볼린저밴드는 그냥 하나의 보조지표일 뿐이라는 것입니다. 거기에 더불어 우리가 챙겨야할 것은 시황, 업황, 환율, 모멤텀 등등 다양한 면을 확인하고 볼린저밴드를 참고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판단의 여러분의 선택입니다. 하지만 볼린저 밴드가 저런 원리에 움직이고 보여준다는 점에서는 분명 참고할 만한 지표인 것은 사실입니다.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
우리가 주식투자를 하면서 여러가지 보조지표를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2 가지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 와 일목균형도 두가지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
1. 볼린저밴드란? (Bollinger band)
볼린저밴드는 1980년대 초반 존 볼린저밴드 지표 볼린저(John Bollinger)라는 투자전문가가 고안해 낸 지표를 말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주가의 변동이 표준정규분포 함수에 따른다고 가정하고 주가를 따라 위아래로폭이 같이 움직이는 밴드를 만들어 주가를 그 밴드를 기준선으로 판단하고자 고안된 지표를 말합니다.
볼린저밴드는 중심선인 ‘20 일 이동평균선 ’ 과 중심선에서 ‘ 표준편차 ×2’ 를 더한 상한선 , ‘ 표준편차 ×2’ 를 뺀 하한선으로 구성됩니다 .
주가는 90% 이상 볼린저밴드 내에서 수렴과 발산을 반복하면서 움직이게 되며 가격변동 띠의 폭이 이전보다 상대적으로 크거나 , 큰 상태에서 줄어들 경우에는 볼린저밴드를 매도와 매수가 과도하게 집중된 상황을 반영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위의 내용은 네이버 백과사전에 나와있는 내용을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 ‘ 표준편차 ’, ‘ 표준정규분포 함수 ’ 잘 이해가 안가는 내용들이 많습니다 .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볼린저밴드를 MTS 에서 어떻게 설정하고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
2. 볼린저밴드 설정방법 (나무증권 MTS) 볼린저밴드 지표
ⓐ MTS>주식현재가>차트 페이지로 들어간다.
ⓑ 차트설정>오버레이>Bollinger band를 체크하고 설정에 들어간다.
ⓒ 기간은 20, 표준편차승수 2.00 으로 설정하고 하단 밴드 색상을 설정한다.
위와 같이 볼린저밴드를 설정하게 되면 아래 와 같이 캔들 주변에 3 개의 선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여기서 가운데 중신선 ( 녹색 ) 은 위에서 배운 이동평균선 20 일선과 동일합니다 . 볼린저밴드 설정값에서 기간을 20 일로 설정한 이유입니다 .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 설정 후 차트 화면 (MTS)
3. 볼린저밴드 활용방법
위와 같이 볼린저밴드의 설정을 완료했다면 이 기술적 지표의 활용법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볼린저밴드 활용법에 가장 적합한 예시가 [에코프로비엠의 2019년~2020년] 사이의 차트입니다.
에코프로비엠 볼린저밴드 볼린저밴드 지표 차트 (2019~2020년)
위의 차트를 보면 2019 년 10 월부터 2020 년 초까지 좁은 폭의 볼린저밴드안에 캔들이 갇혀있습니다 . 이 캔들들은 볼린저 밴드의 상단과 하단을 터치하면서 오르락 내리락하고 있습니다 .
이 구간에서 볼린저밴드 하단 ( 매수 ), 볼린저밴드 상단 ( 매도 ) 를 하면서 거래를 하는 것을 보통 [ 스윙 ] 이라고 합니다 . 주가는 보통 볼린저밴드 안에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 그러나 2020 년 2 월쯤 주가가 폭등하기 시작합니다 . 우리는 이 차트를 보고 무엇을 배워야 할까요 ?
볼린저 밴드를 잘 활용하시는 분들은 스윙매매를 하지않고 녹색 구간에서 [ 매집 ] 을 하기 시작합니다 . 이때 매집 조건이 몇 가지가 있는대 아래 내용을 참고부탁드립니다 .
- 1. 볼린저 밴드의 폭이 좁아져야한다.
- 2. 볼린저 밴드의 상단과 하단을 크게 이탈해서는 안된다.
- 3. 볼린저 밴드의 녹색 구간에서는 거래량이 현저히 줄어들어야한다.
- 4. 중심선의 기울기가 하방을 향해서는 안된다.
위의 4 가지 주의사항을 항상 기억하셔서 매매를 해야합니다 . 물론 볼린저밴드가 100% 정확하다면 모두가 부자가 됐겠죠 ? 주식을 하실 때 내 종목에 자신을 가질만큼 열심히 공부하시는 것만이 정답입니다 .
공부가 잘되어있다면 20~30% 하락하는 조정장에서도 버틸 수 있습니다 . 볼린저밴드는 말그대로 기술적인 참고 지표이지 공식이 아니라는 점 반드시 인지하셔야합니다 .
오늘은 주식 보조지표인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주식 지표의 가장 기본적인 것이 볼린저밴드입니다. 볼린저밴드 설정하시고 잘 활용하시면 더 효율적인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위의 내용을 잘 참고하셔서 주식 실력을 쌓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업비트(UPbit) -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 보는법
주가는 그 회사의 실적과 영업경쟁력, 미래의 성장 가능성은 물론 그 나라 경제상황과 글로벌 경제의 흐름까지 반영한다. 하지만 막상 하루하루 변하는 개별 회사의 주가를 보면 그 흐름과 패턴을 찾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어떤 주식이 회사 본래 가치에서 고평가 된 것인지, 저평가된 것인지도 모호하기 짝이 없다.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 / 기술적 분석에서 가장 신뢰받는 지표》
투자자들은 그래서 현재 주가 수준이 어떤지를 판단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준을 원한다.
투자자 중 일부는 주가의 변동성과 흐름을 분석해 이를 지표로 삼기도 한다. 볼린저밴드는 이런 수요에서 1980년대 초반 존 볼린저(John Bollinger)라는 투자전문가가 고안해 낸 지표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주가의 변동이 표준 정규분포 함수에 따른다고 가정하고 주가를 따라 위아래로 폭이 같이 움직이는 밴드를 만들어 주가를 그 밴드를 기준선으로 판단하고자 고안된 지표를 말한다.
볼린저밴드의 정의를 ‘1980년대 초반 존 볼린저가 개발한 기술적인 거래 도구로 주식의 변동성 자체가 가변적이고, 일정하지 않다는 당시 시장 상황에서 적합한 매매 범위를 찾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설명한다.
그래프의 모양과 추세를 보고 투자 여부 결정에 참고한다는 점에서 볼린저밴드는 기술적인 분석의 대표적인 도구로 평가된다.
- ※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주가지표(차트)
1. 코인 시장에서의 볼린저밴드
주식시장과 코인 시장은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마찬가지로 볼린저밴드를 통해 차트의 움직임을 조금 더 정밀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볼린저밴드를 통해 상한선(저항선)과 하한선(지지선)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볼린저밴드는 코인의 시세가 상한선과 하한선을 경계로 등락을 거듭하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합니다. 즉, 하한선(저점)에서 매수해서 상한선(고점)에서 매도하는 것을 반복하면 단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볼린저밴드대로 매번 차트가 진행된다면 항상 벌기만 하겠죠. 실제로는 하한선 아래로 급락하기도 하고 상한선 위로 급등하기도 합니다. 이를 '지지선이 깨지다' 또는 '저항선을 뚫다'라고 표현을 합니다.
상한선과 하한선 사이의 선을 추세선이라고 합니다. 조금 더 정확하게 추세 중심선이라고 합니다. 이동평균선(移動平均線 / moving average)이 시세의 평균을 의미한다면 추세 중심선은 상한선과 하한선의 중심을 표현합니다. 이를 통해 조금 더 정확하게 추세를 읽어낼 수 있겠습니다.
볼린저밴드를 통해 상한선에 가까우면 과매도(매도 타이밍), 하한선에 가까우면 과매수(매수 타이밍)로 활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업비트·바이낸스 차트 설정 - ② 볼린저밴드 보는법 실전 매매법
🚩 이 글은 2022년 1월 30일에 갱신되었습니다. 볼린저 밴드란 무엇인가? 볼린저 밴드는 차트 매매법 중에서 지표 그래프를 선택하면 볼린저 밴드 차트를 추가할 수 있다. 위의 차트에서 라인 말
상승 장세에서의 상한선 /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
위의 차트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상한선에서의 매도 시점입니다.
양대 장봉이 상한선(저항선)을 뚫고 연달아 세워지고 있습니다. 즉, 이 시점부터는 언제 매도 추세로 전환돼도 이상하지 않은 것입니다. 그만큼 매도로 전환되면 큰 폭으로 급락하기 때문에 항상 급등과 급락은 동시에 온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양봉이 7~8개 정도로 세워지고 있는데, 봉 완성 시간이 1분임을 감안할 때, 과매도 타이밍은 약 6~7분 정도의 시간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즉, 볼린저밴드에서 양대 장봉으로 상승 추세로 전환되었던 시점부터 6-7분 사이에는 매도가 이뤄져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다시 매도 추세로 전환되어 큰 이득을 못 보거나 오히려 손해를 볼지도 모르니까요.
2. 업비트에서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 설정
업비트에서 볼린저 밴드 설정은 아주 간단합니다.
Bollinger Band / BB 또는 볼린저 밴드라고 검색하고 맨 위의 있는 지표를 클릭하면 됩니다. 설정은 대부분 기본 설정으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볼린저 밴드에서도 미세한 설정이 가능하지만, 이는 저점이나 고점 길이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어 개인의 투자성향에 따라 수정하시길 바랍니다.
업비트에서 볼린저밴드(Bollinger Band) 설정
업비트뿐만 아니라 다른 거래소에서도 위와 같이 볼린저 밴드를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절대적인 지표가 아닌 만큼, 고점과 저점, 추세는 여러 상황과 자신의 감각을 믿고 찾아야 합니다. 이러한 차트 읽기는 결국 결과론적이기 때문에 앞으로를 예측해야 하는 만큼, 이전의 차트와 시세 흐름, 분위기 등을 고려해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0 개 댓글